떡밥위키
최근 변경
최근 토론
특수 기능
파일 올리기
작성이 필요한 문서
고립된 문서
고립된 분류
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
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
내용이 짧은 문서
내용이 긴 문서
차단 내역
RandomPage
라이선스
IP 사용자
3.145.115.135
설정
다크 모드로 전환
로그인
지그문트 프로이트
(r14로 되돌리기)
닫기
[[분류:인물]][[분류:인문학]] ||<-2><tablealign=right><tablewidth=470><tablebordercolor=#000><tablebgcolor=#fff,#191919><colbgcolor=#000><colcolor=#fff> '''{{{+1 지그문트 프로이트 }}}''' [br] '''Sigmund Freud''' || ||<-2><nopad>[[파일:Sigmund_Freud.jpg|width=100%]]|| ||<width=24%> '''본명''' ||지기스문트 슐로모 프로이트[br]Sigismund Schlomo Freud|| || '''성격''' ||변태|| || '''학력''' ||빈 대학교 ,,(의학 / M.D.),,|| [목차] [clearfix] == 개요 == 엄청난 변태이다. [* 아동은 달을 보면 어머니의 젖가슴을 연상한다는 등 별 신빙성 없는 개소리도 많이 했지만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로 대표되는 현대에서도 통용되는 접근법 또한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이 제시했다.] 그와 별개로 정신분석학이나 심리학 역사에서는 뺼 수 없는 중요한 사람이다. 임상 치료(임상 심리학)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이론에만 빠삭한 탁상공론형 심리학자가 아니라 실제 환자와의 인터뷰 및 치료 경험이 무수히 많다. 저서 애도와 멜랑콜리아에서 우울증을 감정과 대상에 대한 애도로 정의했다. 현대에 이르러 프로이트 까기가 일종의 유행같던 시기가 있었는데 결국 현재까지 유아, 아동심리학에선 주구장창 우려먹히고 있다. [* 문학과 영화, 회화를 막론하고 예술 분야에 끼친 영향력 또한 지대하다. [* 국내에서 프로이트의 이론에 충실한 작품의 예로는 김기덕 감독의 필모그래피 전부와 박찬욱 감독의 <올드보이>가 있다.] == 여담 == 찰리 카우프만의 영화 <이제 그만 끝낼까 해>에서 여주인공의 입을 빌어 “프로이트적인 개소리”라며 언급된 바가 있다. 이와 별개로 해당 영화는 서사 구조와 인물 유형 등에서 상당히 프로이트적이다.
요약
되돌리기
사용자
3.145.115.135
IP 사용자
로그인
회원가입
최근 변경
[불러오는 중...]